-
#4. '점과 선' 이우환 (1936~)아트 컬렉터를 위한 작가소개/대가_작고, 원로작가 2022. 2. 17. 09:46728x90반응형
"점과 선"
1936년 경남 함안에서 유교적인 집안의 장손으로 태어난 이우환은 일찍이 조부의 친구였던 한학자에게 한문과 서예를 배웠다고 한다. 작가는 "내가 점을 배우기 시작한 것은 초등학교에 들어가기 전이며 그 당시 떠돌이 환쟁이가 우리 집에 놀러와 그 사람으로부터 우주 만물은 점에서 시작해 점으로 돌아간다든가 하는 여러 가지 이야기를 들었다"라고 밝힌적 있다.
함안 군북국민학교, 경남중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사대부고에 진학하였고 거기서 산정 서세옥으로부터 동양화를 배우기도 했으나 원래 꿈은 문학도였다고 한다. 이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 입학하였고 한 학기를 마친 후 1956년 삼촌이 살고 있는 일본으로 건너가 니혼대학 철학과를 졸업했다. 1969년 <사물에서 존재에로>라는 글로 예술평론상을 받으며 화가보다 이론가로 먼저 이름을 알렸다.
당시 극렬한 학생운동, 기술문명에 대한 반성 등, 불안한 시대상을 반영하듯 이우환의 이론은 모노하라는 예술운동의 정신적 기반이 됐다. 예술가는 최소한의 작업만으로 개입해 물체 또는 물질 그 자체가 스스로를 드러내는 상황을 만들어줄 뿐이라는 것인데, 이는 일본 현대미술의 중요한 움직임이 됐다. 이우환은 1971년 출간된 비평집 <만남을 찾아서>를 통해 일본과 한국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우환 "점으로부터 No.780217", 1978년 이우환 작가는 점 하나도 공간과의 관계를 고민한 후 치밀하게 계산된 색으로 조심스럽게 찍어 작업한다. 점은 일단 찍히면 하나의 좌표와도 같아 그것을 중심으로 새로운 파장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작품과 관객 사이를 진동하며 교감한다. 선은 숨 멈추고 느릿느릿 선 그 자체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방법으로 그려나갔다. 대칭성과 균질함을 가진 선들이 리듬감을 갖고 희미하게 그 끝에서 사라진다.
이우환 "선으로부터", 1980년 1970년대 시작된 이우환의 작업은 '점으로부터'와 '선으로부터', '바람으로부터' 등으로 이어진다. 사색적이고 철학적인 작품이지만 눈으로 즐기기에도 충분히 좋다.
이우환 "동풍", 1984년 1990년대 초반에 시작된 '조응'과 비교적 최근작인 '대화' 연작들은 널따란 화면에 점 한두 개가 전부다. 화면 한가운데가 아닌 약간 아래쪽 혹은 조금 옆으로 어긋나 있다. 이 점 역시 한번에 찍은 것이 아니라 여러번의 붓질로 두툼하게 그려졌으며 점 안에서도 미묘한 색의 변화를 보인다.
이우환 "조응", 1999년 이우환은 늘 작품을 볼때 '만남'과 '느낌'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늘 강조했다. 작품 자체를 보여주는게 아니라 시간과 공간, 관계에 따라 달리 보일 수 있는 실마리를 만드는 것이 작품의 역할이라고 했다.
"나의 그림은 끊임없는 반복의 수련 가운데 무한이 숨 쉬게 되고 기가 충만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림과 공간과 당신이 만나면 신기한 생명의 파장이 여울지는 설렘의 우주가 열릴 것이다."
이우환 "Dialogue (대화)", 2010년 l 이우환 작가의 이야기를 마치며... l 이우환 작가의 작품은 판화부터 원화까지 옥션을 포함한 미술시장에서 컬렉터들이 가장 많이 만나는 작품이다. 윤위동 작가가 한 인터뷰에서 "이우환 작가의 점하나가 왜저리 비싸냐고 사람들이 이야기하지만, 그 선하나에 순환을 담는 것이 진짜 대단하다"고 말한 것처럼 이우환 작품에 담긴 예술성과 작품성을 바라보는 접근이 필요하다.
국내의 단색화 거장들중 이우환의 그림은 가장 단순하면서도 관람자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힘이 있다. 이 점과 선에 어떤 의미와 철학이 담겨있는지 관람자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필자는 이우환의 그림이 1세대 단색화 거장들 중 가장 한국적이고 철학적이라 생각한다.
국내의 MZ세대들에게는 방탄소년단의 RM이 이우환의 팬으로 유명해 잘 알려져있다. 이우환 그림의 작품성과 예술가치는 화려함과 기교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다. 작가는 점을 찍고 선을 긋는 행위가 '만남'과 '교감'을 일으키는 예술로 승화되는 것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참고서적 "살아남은 그림들"
참고자료 "함안군 홈페이지 함안인물 이우환", "부산시립미술관 이우환 공간소개"
참고칼럼 '점'과 '선'의 예술, 세계 미술계가 주목하는 이우환 작가, 정책주간지 공감, 2021.06.02728x90반응형'아트 컬렉터를 위한 작가소개 > 대가_작고, 원로작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꽃의 화가' 김종학 (1937~) (0) 2022.03.02 #5. '농원의 화가' 이대원 (1921~2005) (0) 2022.02.24 #3. '묘법' 박서보 (1931~) (0) 2022.02.14 #2. '물방울 화가' 김창열 (1929~2021) (0) 2022.01.16 #1. '침묵의 화가' 윤형근 (1928~2007) (0) 2022.01.10